갓스쿨.kr "기독교 교육 콘텐츠"
/
긍정적인 훈육법
📕
긍정적인 훈육법
교육은 아이들을 위한 이야기입니다.
교육은 부모나 교사의 꿈을 아이들에게 전하기 위한 수단이 아닌, 아이들이 꿈을 발견하고 그 꿈을 실현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이 되어야 합니다.
Gallery
Blog View
Date View
자녀양육에 대한 Post
교사의 역할
•
부드러운 조력자
•
아이들이 행복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조언해주고, 도와주는 사람.
•
욕을 하거나 공격적인 아동에게 부드럽게, 바람직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해야함.
•
교사의 마음의 여유(자존감)가 중요함, 교사가 마음의 여유가 없으면 아동을 여유롭게 대하기 힘듬. (교사의 자기관리가 중요, 그날 업무는 그날 처리)
•
누군가를 품어줄 수 있는 너그러운 마음이 가장 중요함.
분위기 중요
•
경직된 분위기가 아닌 부드러운 분위기로 이끌때 아이들이 마음이 부드러워짐.
•
아동과 초기 라포형성이 중요. (아동은 좋아하는 사람의 말을 듣는다.)
•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
•
아동의 긍정적인 자존감을 끌어올려줄 것.
•
지도가 필요할때는 따로 불러 지도하되, 아동의 감정이 상하지 않도록
(감정코칭: 행동은 수정하되, 감정은 만져줌.)
늑대의 리더십
review
자녀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의 일관성이지 않을까싶다.
자녀가 가장 잘 배우는 방법은 부모에 대한 모방이다.
어릴적부터 자녀가 독립을 할때까지 자녀는 부모를 보고 배우며 자란다.
그래서 성경에서나 유대인들의 교육에서도 가정교육을 중요시 하지 않았을까.
유대인들의 교육헌장과도 같은 신명기 6장 1~9절에서의 쉐마교육에서도 성경말씀을 부모가 몸소 행하여 가르치는 가정교육을 중요시하는 것과 같다.
자녀는 부모를 닮는다는 말이 있다. 부모가 잔소리로 때론 여러 훈육방법을 통해 바람직한 방향을 자녀에게 가르치려하지만 쉽게 나아지지 않는 이유는 자녀는 말보다 행동을 보고 배우며 쉽게 배우기 때문이다.
사실 이러한 점은 성인에게까지 적용된다. 모든 사람이 학습을 할때, 언어나 글과 같은 언어를 통한 학습보다 체험과 행동들과 같은 비언어적인 학습을 통해 더 쉽게 배움을 얻을 수 있는 것과 같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의 행동에도 더 신중해야할 것 같은 생각이 든다.
결국엔 부모의 삶으로 결정된다
essay
긍정적 훈육 5단계
1.장기적인 목표설정 (아이가 무엇을 하길 바라는 것=양육목표)
1)빨리 옷입기, 부모님말 잘 듣기, 말대꾸안하기 - 단기적 목표
2)어떤 모습으로 성장하길 바래나? - 장기적 목표 (아이가 성인이 될 때까지 부모의 목표)
~유지에 많은 시간이 걸리지만, 긍정적 훈육의 행심
~단기적인 목표를 이르기위한 행동을 아이가 배운다.
(단기적 상황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장기적인 목표에 거스르지 않는 방식으로 풀어야함.)
2.따뜻함 제공하기.
단기적 목표와 장기적 목표를 모두 실현할 방법 - 따뜻함 제공하는 것.
따뜻함 - 단기적(부모의 말을 잘 들음), 장기적(부모의 사랑과 애정을 배우게 됨.)
3.체계 제공하기
체계(행동에 대한 명확한 지침, 명확하게 설정된 기대~발달단계와 아이의 의견 고려, 성공을 돕기 위한 지지, 독립적 생각 격려, 아이와 함께 논의)
긍정적인 훈육 5단계 및 적용
book
양육의 신 요약
1.지나치게 강요하지 말고, 공부할 분위기만 만들어줌.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지켜봐주고, 도와주는 역할, 조력자)
2.사람은 할 말을 못하면 마음에 분노가 화로 쌓여 엉뚱한 곳에서 폭력을 휘두르거나 일탈적 행동으로 나타난다.
(들어주는 부모, 고민을 자발적으로 털어놓게 하는 것이 중요, 작은 비밀은 덮어주는 관용)
3.사춘기 이후로는 자기 일을 스스로 해결하도록 놔두고, 자식이 요청할 경우에만 개입하는 것이 자식을 위한 길임.
3.대화법 바꾸기 (지시적인 대화법X)
•
"대화란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일방적으로 털어놓는 것이 아니라 그가 하고 싶은 말을 털어놓도록 하고 내 솔직한 생각과 조율해서 합의점을 찾는 것이다."
•
그것은 두 아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비결이 되었을 뿐 아니라, 두 아들이 성적과 인성, 행복, 사회적 성공을 거둔 주춧돌이 되었다.
4.완벽한 부모 노릇이 자녀를 무능하게 만든다. (스스로 할 수 있게, 부모님 조력자. 부모 보상심리X)
양육의 신 요약
book
따뜻하고 단단한 훈육 요약
1.아이의 마음을 움직여야함, 힘에 어쩔수 없이 굴복하는 게 아닌.
2.따뜻하고, 단단하고, 깨닫게,
3.공감은 산소와 같다. 기본이고 필수다.
그러나 공감만으로는 아이가 행동의 변화까지 얻기는 힘들다.
그래서 필요한 것은 제대로 된 훈육이다.
잘못한 것은 잘못이고, 꼭 지켜야할 것을 지키도록 도와주어야한다.
그게 제대로된 훈육이다.
아이마음을 따뜻하게 다독여주고, 안 되는 건 안된다고 단호하게 말해주는 것이다.
4.무시하기 (강화주지않기)로 만 끝내면 안되고, 잘못된 행동이 멈추면, 따뜻하게 다독여주어야함.
(무시하기 행동을 정했으면, 아무리 쌔게 나와도, 그 행동을 참아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더 강화하게 됨)
따뜻하고 단단한 훈육 요약
book